"어떤 사람들이었나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오랜만에 소재가 참신하여 흥미가 가는 한국 영화이다. 물론 어떤 천재지변으로부터 살아남기가 목적이었다면 그저 그런 재난영화로 생각했을것이다. 그러나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재난이 주된 요소가 아닌 재난 이후의 상황이 주된 요소이다. 재난 이후 살아남은 사람의 반응이나 사람간의 관계 등 인간 군상이 주로 다루어진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대지진 이후 폐허가 된 서울이 배경이다. 대지진으로 한 아파트만 제외하고 눈에 보이는 모든 건물이 무너져있다. 직업이나 돈 등은 무의미해졌고 물물교환이 주로 이루어진다. 아파트 주민 이외의 사람들로 인해 불화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기점으로 상황은 급격히 변한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오직 대지진 이후의 상황만을 다룬다. 지진이 왜 났는지, 왜 이 아파트만 남았는지는 이 영화에서 중요하지 않다. 영화가 사람이라는 것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충분히 재미있는 영화이다. 한국 영화에서 이런 영화가 많지 않을 뿐더러 내용 자체도 잘 살렸으며 재미가 있다. 다만 디스토피아라는 장르가 대게 같은 흐름으로 가듯 이 영화도 마찬가지이다. 정해진 수순을 밟는다. <설국 열차>, <워킹 데드> 등 포스트 아포칼립스는 장르가 갖는 한계가 있지만 그 안에서 개별적인 소재로 이야기를 완성한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이런 장르들의 요소를 그대로 가져왔으나 특히 한국형으로 개조시켜 재미를 느끼게 해주는 이야기이다.
최근 몇년간 한국에서는 부동산이라는 단어가 아주 화제이지 않았나 싶다. 특히 우리나라의 인구 대다수가 거주하는 형태인 아파트는 언제나 뉴스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임대 아파트 차별, 전세와 자가, 아파트 소유자와 비소유자, 1주택자와 다주택자 등 아파트라는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도 여러 대립 구조를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현실이 우리의 삶에 아주 가깝기 때문에 <콘크리트 유토피아> 내에서 생겨나는 갈등은 낯설게만 느껴지지 않는다. 더욱 이 영화에 있는 다양한 인물들에 동조하게 만든다.
'나라면 어떻게 했을까?' 이러한 생각이 끊임없이 든다.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나를 위한 불가피한 행동이 직접적으로 타인에게 피해가 가기도 한다. 살기 위해서라는 말이 어디까지 허용되는 것인지는 본인의 기준만이 결정할 수 있다. 영화 내에서는 집단 내에서 개개인의 이러한 기준의 차이로 인한 갈등이 자주 빚어진다. 그로 인한 영향은 본인의 힘을 벗어나기도 한다. 언제나 개인보다는 집단이 큰 힘을 갖기 마련이다. 영화 초반 '김민성'(박서준)은 중대한 결정을 위한 투표에서 고심한다. 어떤 선택을 했는지는 끝내 나오지 않으며 관객의 유추에 맡긴다. 영화만 봤을 때는 '명화'(박보영)가 어떤 선택을 했을지가 예상 가능하도록 묘사되니 대답을 숨기는 '김민성'의 반응을 보면 '명화'와 다른 선택을 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개인적으로는 이 영화를 보는 사람이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가 '김민성'의 선택으로 보이지 않을까 싶다. 필자가 '흰 돌'을 선택하고자 해서 '김민성'도 '흰 돌'을 선택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지도 모른다. 또한 '김영탁'(이병헌)이 악인으로 느껴지지 않는 이유가 저런 상황이었다면 같은 선택을 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때문이라고 느껴진다.
'김영탁'역의 이병헌은 언제나 출연 자체로 흥미를 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에서는 그간 연기해왔던 인물들이 섞여있는 듯한 느낌도 든다. 대사 없이 표정이나 눈빛 만으로도 긴장감을 주며 등장만으로도 영화에 집중이 된다. 감독인 엄태화는 필모그래피를 보니 처음 접한 듯 하다. 이 영화에서 나오는 몇몇 연출들이 인상이 깊다. 앞으로도 자주 보고싶다.
'Review >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펜하이머 (Oppenheimer, 2023) (0) | 2023.08.21 |
---|---|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 (Indiana Jones and the Last Crusade, 1989) (0) | 2023.08.17 |
대최면술사 (The Great Hypnotist, 2014) (0) | 2023.08.06 |
말아톤 (Marathon, 2005) (0) | 2023.08.04 |
아포칼립토 (Apocalypto, 2006) (0) | 2023.07.30 |